뇌 속 별세포 조절해 지방 태운다···다이어트 고민 해결?
IBS 이창준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장 연구팀, "차세대 비만 치료제 기대" 뇌 세포 작용을 조절해 식사량을 줄이지 않고도 살을 뺄 수 있음을 보이는연구가 나왔다. 치매의 원인으로 여겨지는 뇌 염증이 비만에도 관여함을 시사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기초과학연구원( IBS , 원장 노도영)은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이 뇌 속 별세포에서 지방 대사를 조절하는 원리를 찾았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31일(현지시간) 학술지 '네이처 메타볼리즘( Nature Metabolism )'에 실렸다. 공복감이나 체내 에너지 균형은 뇌의 측시상하부가 관장한다. 측시상하부 신경세포들이 지방 조직으로 연결돼 지방 대사에 관여한다고 알려졌지만, 정확한 지방 대사 조절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다. ■ 마오비 효소에서 지방 대사로 이어지는 연쇄 반응 연구진은 신호 전달을 억누르는 억제성 신경물질인 '가바( GABA )'와 결합하는 수용체를 발현하는 신경세포 군집 ' GABRA5 '를 측시상하부에서 발견했다. 이어 비만한 쥐에서 GABRA5 신경세포가 주기적으로 발화하는 일이 실제로 많이 줄어들어 있음을 확인했다. 인위적으로 GABRA5 신경세포의 활성을 억제하니 지방 조직의 열 발생이 줄어 에너지가 소진되지 않아 지방이 축적되어 체중이 늘었다. 반대로 측시상하부의 GABRA5 신경세포가 활성화되면 체중이 줄었다. GABRA5 신경세포가 체중 조절 스위치인 셈이다. 별세포의 지방 대사 조절 모식도. (왼쪽) 장기간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비만 생쥐 뇌의 측시상하부에 반응성 별세포의 마오비( MAO-B ) 효소가 발현되어 지속성 가바( GABA )가 과생성 됨. 가바는 GABRA5 신경세포의 활성을 감소시켜 지방 대사를 억제(갈색 지방 조직의 열 생성 감소, 백색지방 축적 증가)해 체중을 증가시킴.(오른쪽) 별세포의 마오비 또는 GABRA5 유전자를 억제하거나, 마오비 억제제 KDS20